투데이경제

카카오, 이번엔 '위치'로 불지른다

 카카오맵이 6년 전 선보였던 위치 공유 서비스가 최근 대대적인 업데이트 후 사생활 침해 논란의 중심에 섰다. 

 

지난 12일 '톡친구 위치 공유' 기능이 '친구위치'로 개편되면서, 친구 간 위치 공유 시간이 사실상 무제한으로 확대된 것이 발단이다. 이 기능이 연인이나 직장 내에서 감시용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인터넷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공유 시간의 변화다. 기존에는 최대 1시간까지만 위치 공유 시간을 선택할 수 있었으나, 업데이트 이후에는 이용자와 공유 참여자가 직접 종료하지 않는 한 서로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카카오톡 내에서 간편하게 친구를 초대하는 기능이 추가되었고, 위치 공유 중에도 일정 시간 동안 자신의 위치 노출을 차단할 수 있는 '내 위치 숨기기' 기능이 신설되었다. 이 외에도 이모티콘과 앱 내 채팅 기능이 강화되어 사용자 간 상호작용이 증대됐다.

 

카카오 측은 논란에 대해 강력히 부인하며 방어에 나섰다. 회사는 위치 공유가 반드시 이용자 상호 간의 동의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본인의 동의 없이는 누구도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용자가 언제든지 공유를 해제하거나 '내 위치 숨기기' 기능을 통해 위치 노출을 통제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이 기능이 가족의 귀가 안전 확인, 주말 모임 장소 찾기, 동호회 활동 등 긍정적인 서비스임을 역설했다.

 


하지만 이용자들의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린다. 일부 사용자들은 "보호자 입장에서 아이의 안전 귀가를 지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능"이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반면, 다수의 우려 목소리는 '감시 도구로의 악용 가능성'에 집중된다. 특히 연인 관계에서 감시 수단으로 변질될 위험성과, 직장이나 팀 환경에서 위치 공유 요청을 거절하기 어려운 '자발적 강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며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사실 위치 공유 기능은 구글, 인스타그램 등 글로벌 플랫폼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제공되어 온 서비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카오맵이 유독 논란의 중심에 선 것은 최근 카카오톡의 잇따른 앱 개편에 대한 이용자들의 심리적 피로감과 경계심이 높아진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사실상 모든 국민이 사용하는 카카오의 특성상, 기능 변화에 대한 이용자들의 개인정보 민감도가 다른 플랫폼보다 훨씬 높게 작용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